38 ART & CULTURE FACTORY

조보환 리스트 이미지
조보환 작가
  • 입주기간 2025-10-17 ~ 2026-12-31
  • 이메일 bbhjo@hanmail.net

‘나(우리)’는 인간 스스로가 만들어낸 규정이나 규범에 의해 시스템화 되어 있
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개인과 우리를 효율적으로 통제하
며 우리는 그러한 통제에 익숙해져간다. 하지만 많은 시스템의 통제들이 개인
의 자율성을 침식하며 결국 획일화된 변질을 일으킬 수 있다.
나는 공간과 시점을 이용하여 평면이미지를 만들고 그것이 다시 관람자의 이
동으로 해체와 흐트러짐의 시각적 요소로서 우리 사회의 잘못된 시스템이나
관습, 인식 등을 제기하고 새롭게 개념화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관점의 시작은 현대사회 시스템에서의 ‘나’였다. 지금까지의 나를 형상화하는
데 관여한 모든 것들에 대한 질문으로 파기된 공문서와 신문, 버려진 포장박스,
인터넷 검색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부와 언론, 기업, 디지털문화의 영향이 ‘나(개
인)를 오롯이 나 이도록 하였는가’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서양미술事#>시리즈는 내가 행하는 것, 즉 ‘나’라는 존재를 형성하고 있는
미술에 대한 고민이다. 미술에 입문하면서 그것의 제도, 교육, 미술 현장은 서
양의 방식과 역사들로 점철되어왔다. 서구식의 미술은 많은 작가들에게 일상
이고 그것은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는 생각으로, 서양의 명화들을 해체하고 그
것을 다시 우리의 이미지로 재 조합하여 작가적 정체성과 우리사회의 시스템
과 관습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근래의 작업들은 미술 분야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을 빌어, 효율성 때문에 발생
하는 개인의 자율을 획일화하는 우리사회의 시스템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개인이 어떤 집단이나 단체에 소속되려면 지원서를 제출하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 우리는 그러한 시스템에 나를 ‘욱여’넣어야 한다. 미술의 생태 역시 관 주
도의 시스템(창작지원금, 레지던스, 각종 공모)이 선호되어지며 집단이 요구하
는 서류 양식에 나를 표현##해야 하고 ‘이것이 미술이다’라고 아우성쳐
야 한다. 그러한 행위는 보이지 않는 어떤 거대한 힘에 의해 재단되
어지고 우리는 그 규격에 맞추어 살아간다.

프로필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예술대학 환경조각학과 졸업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환경조형학과 졸업
개인전
  • 2020/The Ruler/777갤러리/경기
  • 2019/西洋美術‘事’(A Daily Life of Western Art)/777갤러리/경기
  • 2017/西洋美術‘事’(A Daily Life of Western Art)/사이아트스페이스/서울
  • 2012/개입의 ‘틈’(A Chink of Intervention)/안상철미술관/경기
주요 단체전
  • 2024/’양주의 예술가“전/장욱진미술관/양주
  • 2023/이산가족 예술프로젝트 ‘그리운 얼굴’전/한반도생태평화센터/파주
  • 2021/10th 국제조각페스타/예술의 전당/서울
  • 2021/1st, 2nd, 3rd 상생 아트 페스티발/스타필드 고양, 하남, 코엑스/경기, 서울
  • 2021/별에서 온 편지/Space+ 갤러리/안성
  • 2021/YYA(Yangju Young Artist)전/장욱진미술관/양주
  • 2020/ART PRIZE GANGNAM/이누스바스/서울
  • 2020/나뉨과 이음의 미학전/꽃배산2길 105/포천
  • 2019/Art Bazzar/나눔갤러리블루/양주
  • 2019/Homo Symbious-Kraftwerk/정촌빌딩/서울
  • 2019/‘PAMAF’전/의정부예술의전당/경기
  • 2019/‘The Shift’ 새롭게, 봄/갤러리박영/파주
  • 2018/LJA Douze/LJA갤러리/서울
  • 2018/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 기념 조각전/서울시립대학교/서울
  • 2016/예술과 과학의 만남-Art로 STEAM/포스코 갤러리/포항
  • 2016/시립조각회전/빨간벽돌 갤러리/서울
  • 2016/서울오픈아트페어 <SOAF 2016>/코엑스/서울
  • 2015/조각대상전 ‘Seven-ONE’/장욱진미술관/양주
  • 2015/K-아트 거리소통 프로젝트/광화문광장/서울

작품 소개

  • 신기루-섬(Mirage-Island) Stainless steel(Metal etching), Granite stone 3300X2300X3400mm 2021

Prev Next

목록으로

다음글
서시환
이전글
권광칠